Works
tether I, oil on canvas, 90.9 x 72.7 cm, 2025
Installation Views
Press release

가위바위보의 규칙을 벗어난 손동작이 튀어나올 때, 무너진 규범은 명명할 수 없는 기호로 남는다. 까마귀 떼가 공중에서 충돌하는 장면을 목격했을 때, 뒤엉킨 신체는 소리마저 잠식시켰다. 짧은 일상의 감각들은 때로는 긴 여운으로 지속되어, 어딘가에 새겨진 듯한 흔적으로 치환될 것이다. 신건우가 말하는 ‘식(蝕)’은 이처럼 현실의 일면에 스며든 인식 이전의 층위를 감지하는 일과 관련이 있다. 그가 실재를 의심하기 시작하면, 실재는 존재 너머를 드러내고, 드러내는 자와 보는 자의 위치는 뒤집힌다. 그렇게 직관이 우선하는 순간, 달리 말해 선험적 지식이 해체되고 재편된 경험이 틈입하는 찰나에 감지되는 어떤 것. 그것이 신건우의 ‘식’이자, 그의 회화가 시작되는 지점이다.

 

신건우의 회화에서 세계는 단일한 질서로 제시되지 않는다. 그는 2020년대 초반부터 자신만의 개념으로 ‘식’을 탐구해 왔다. 초기에는 주로 조각을 통해 형태의 틈이나 파인 공간 같은 물리적 결여를 통해 사라짐 속에 남는 존재를 드러내려 했다. 이번 전시에서 그는 그 개념을 회화로 옮겨와, 형상 너머에서 작동하는 존재와 부재, 응시와 소거의 간극을 감각하는 방법론적 장치로서 ‘식’을 구조화한다. 영화의 스틸, 인터넷 이미지, 우연히 마주한 일상의 장면 등 출처가 뒤섞이고 위계가 부재한 채 병치된 이미지들은 표면적으로는 불규칙하게 보인다. 하지만 그러한 산발성, 예측 불가능성은 우리의 삶을 닮은 질서로써 그가 시도하는 회화의 축이 된다. 비결속에서 비롯되는 기묘한 연결감. ‘식’은 그 모순적인 구조 속에서 인식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시의 제목이자 핵심인 ‘Tether’(끊어질 듯 이어지는 상태)는 곧 이번 전시의 이미지들을 은유하는 하나의 전제인 셈이다.

 

그의 ‘식’ 실험이 구현된 사례를 살펴보자면, 〈Rock, scissors, fox〉(2025)는 단순한 놀이의 손동작이 규칙에서 벗어나며 낯선 형상으로 비틀어지는 순간을 포착한다. 주먹, 가위, 보자기라는 정해진 세 가지 동작만을 허용하는 체계 속에서, 불쑥 튀어나온 손가락 두세 개는 여우의 귀를 연상시키는 새로운 형상으로 변모한다. 보편적이고도 간단한 법칙이 무너진 틈에 돌연 나타난 여우라는 모양은, 인식이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이행된 결과다. 여기서 중요한 건 그 형상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혹은 무엇에서 비롯되었는지가 아니라, 규칙이라는 선험적 조건이 깨지는 지점에서 발생하는 인식의 불확실성이다. 즉, 익숙한 질서가 무너진 곳에서 균열은 발동하고, 의미가 아닌 감각이 우선적으로 밀고 들어오는 그때, ‘식’이 나타난다.

 

그 주변으로 배치된 이미지들은 이제 복잡해진 의미망 속에서 ‘식’의 개념화를 강화한다. 〈Pause〉(2024)는 찰나적 현존을 붙든 꽃을 통해 사라짐의 운명을 응시하게 하고, 〈hollow〉(2025)는 얼굴의 일부를 남겨 응시의 어둠을 파고든다. 〈Tether〉(2025) 연작은 서로 닿으려는 두 얼굴의 미묘한 거리를 제시한다. 〈Carapace〉(2024)는 곤충의 등껍질 위에 비친 얼굴을 통해 나와 타자의 경계를 흩뜨리고, 〈loop〉(2025)는 피부를 뚫고 들어간 금속의 침투 속에서 자율과 구속을 교차시킨다. 〈ghost shore〉(2024)는 버려진 유원지의 롤러코스터를 흐릿한 잔상으로 불러내 존재와 부재 사이의 경계를 드러내고, 〈Basel〉(2025)은 노견의 흐려진 눈동자를 통해 사라져가는 것의 애잔한 무게를 담아낸다. 각각의 그림은 독립된 서사를 지니지만, 그 흩어짐 속에서 관객은 알 수 없는 통일감을 감지한다. ‘식’은 그렇게 산발적 병치와 파편적 연결을 통로 삼아 뚜렷한 윤곽으로 의미화된다.

 

《Tether》는 결국 끊어질 듯 이어지는 감각, 느슨함 속에서 발동하는 낯선 인식, 그러나 언제든 풀려버릴 수 있는 불안정한 연결을 시각화한다. 물리적인 구조를 구축하기보다 평평한 이미지로 압축된 신건우의 회화는, 그렇게 세계를 지탱하는 보이지 않는 틈과 간극에 관한 사유를 심화한다. 완결되지 않고, 붙잡히지 않으며, 경계를 오가는 이미지들. 여기서 우리는 끝내 아무것도 명징하게 결론 내지 못한 채, ‘식’의 사유와 함께 세계를 다시 인식하게 될 것이다.

 

There are moments when the rules of our known world slip. A hand gesture in a game of rock-paper-scissors breaks from its defined set; a flock of crows collides mid-air, a tangle of bodies that, in a moment of synesthetic disruption, seems to swallow sound itself. These are fleeting sensory experiences, yet they can leave a long, persistent afterimage, a trace that feels as if it has been etched somewhere just below the surface of reality. The concept Shin Gunwoo calls Sik (蝕: to erode or eclipse), relates to this very phenomenon: it is the sensation that arises in the instant that a priori knowledge is dismantled and a reorganized experience breaks through. When reality is doubted, it reveals something beyond existence. In a classic post-structuralist inversion, the positions of the observer and the observed are reversed. That moment when intuition overrides reason is precisely his Sik, and it is the point from which his painting begins.

 

The world of Shin Gunwoo's practice is never presented through a singular order. He began exploring this concept of Sik in the early 2020s, initially through sculpture, where he used gaps or hollowed-out spaces—physical deficiencies—to articulate a sense of presence that remains within the act of disappearance. In this latest exhibition, he transfers that concept onto the plane of painting, structuring Sik as a methodological device for apprehending the gap between presence and absence, the gaze and its erasure. The sources for his images are scrambled—film stills, found images on the Internet, casually encountered daily scenes—and are juxtaposed sans hierarchy. They appear irregular, but for Shin, this very sporadicity and unpredictability becomes the axis for a new kind of order, one that more closely resembles the texture of our own lives. A strange sense of connection arises from this non-cohesion, non-coherence. The exhibition title Tether, is therefore the premise, a metaphor for this paradoxical connection that is born from a state of being untethered.

 

A clear example of Shin's experiment with Sik is found in Rock, Scissors, Fox (2025). The work captures the moment a simple gesture in a game breaks from its rules to warp into a strange new form. Within a closed system that allows only three prescribed gestures—rock, paper, scissors—a couple of fingers jut out, transforming into fox ears. What is important here is not what this new form signifies, but the perceptual uncertainty that erupts at the point where a simple norm collapses. When a familiar order is fractured, a destabilized space is created, and it is into this space that sensation rushes in ahead of meaning.

The paintings arranged throughout the exhibition now reinforce this conceptualization of Sik within a complex web of meaning. For example, hollow (2025) delves into the darkness of the gaze by leaving only a fragment of a face, while Carapace (2024) dissolves the boundary between self and other through a face reflected on an insect's shell. Following these, residue I (2024) and residue II (2025) juxtapose a sense of resilient, residual materiality—like a scene where something that should have vanished remains stubbornly on the surface. In contrast, trace (2024) evokes the belief that an invisible trace might linger like an afterimage, even after its source has disappeared. And at the center of the exhibition lies Tether (2025), which divides and repeats a single image across two canvases of different sizes, connecting them with a field of color. This structure, in which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intersect, embodies the artist's attempt to experiment with a shift in thought as a methodology in itself.

 

Ultimately, Shin Gunwoo's Tether is a visualization of a sensation that is perpetually on the verge of breaking: a strange perception activated in looseness, an unstable connection that could come undone at any moment. Shin’s paintings—compressed into flat images rather than constructed as physical structures (in the mode of his earlier sculptural practice)—thus deepen his meditation on the unseen negatives—fissures and gaps—that sustain the world. These are images that remain incomplete, that cannot be grasped, that traffic in the liminal spaces between boundaries. Before them, we are not offered the comfort of a clear conclusion. Instead, we are left to re-perceive the world through the logic of Sik, in its state of productive uncertainty, where seeing itself becomes the primary event.